본문 바로가기

주절주절

인간의 털은 왜 머리, 사타구니,겨드랑이에 가장 많이 날까?




인간의 털은 왜 머리, 사타구니,겨드랑이에 가장 많이 날까?


출처:위키피디아


현대인은 진화의 산물이라는 견해가 있다. 그런데 털이 사라진 것은 진화일까? 아니면 퇴화일까? 진화와 퇴화는 때로는 참 헷갈린다. 대체로 인간의 신체특징들 중에 퇴화를 한 것은 그 것 자체로는 퇴화지만 신체라는 전면의 기능을 볼 때는 진화가 되는 것이다. 꼬리를 예로 들면, 퇴화했지만 직립보행을 위해서는 오히려 편리해진 것이다. 그러니 진화했다고 하는 것이다.
 


다시 질문하자. 털이 없어진 것은 진화일까? 퇴화일까? 아무리 생각해도 아리송하다. 털은 직립보행에 전혀 불편하지 않다. 오히려 옷이 거추장스러운 것이다. 털이 있다면 굳이 옷처럼 거추장러운 것을 입을 필요도 없다. 그런데 왜 털이 사라졌을까? 인간이 유인원에서 호모 사피엔스를 거쳐 현대인으로 진화하는 과정에서 털은 엄청나게 짦아졌다. 거의 없어졌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털의 길이가 인간의 진화와 관계있다는 것은 머리털, 사타구니털, 겨드랑이 털이 남아있다는 것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이러한 털들의 존재는 진화의 과정에서 털이 엄청나게 사려졌음을 알려준다. 우리의 몸에 남아있는 머리털, 사타구니털, 겨드랑이털은 진화 이전의 인간의 모습을 상기시킨다. 
  


털이 사라진 것이 인간의 진화의 과정이다. 그것은 남아있는 털들이 입증한다. 그런데 유독 머리털과, 사타구니털,그리고 겨드랑이털만 남아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왜 끝까지 다 없어지지 않고 이러한 털들만 남아있는 것일까? 정말 이해 부득이다. 머리의 경우 두개골로 보호가 되고 있다. 더해서 그것이 부족하다고 진화론상 판단이 내려졌는지 두개골의 두피에 머리털은 그대로 남아있다. 생각을 하는 뇌의 기능을 가장 중요하게 판단한 것 같다.

이미지 출처 http://movie.daum.net/moviedetailPhotoView.do?movieId=40515&photoId=23801


사타구니 털은 어떤가? 그래도 이 사타구니 털은 이해할만 한다. 생각을 하는 기능을 가진 머리와 함께 생식이라는 중요한 기능을 하는 신체의 일부이기 때문이다. 참 재미있다. 직립보행상 생식기가 위험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노출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니 사타구니 부근에 쿠션감을 제공해 주려는 선택을 했을 것이다.  


그러나 아무리 그렇다고 해도 이러한 진화론상의 선택은 잘못된 측면이 있다. 이러한 선택이 잘못되었다는 것은 겨드랑이 털을 보면 알 수 있다. 노출이 되지 않고 그다지 주요한 기능을 하지 않는 겨드랑이에 털이 남아 있다는 것은 머리 털과 사타구니 털이  남아있다는 이유를 설명하기에는 적용되지 않을 뿐더러 합리성이 부족하다. 이상하지 않는가? 겨드랑이도 머리(뇌)나 사타구니(생식기) 만큼 중요한 곳이었을까? 만약 중요하다면 그 중요성은 어디에 있는 것일까 ? 왜 겨드랑이에 털을 남기기로 선택했을까? 그리고 그 선택의 기준은 무엇일까? 이런 저런 질문이 어지럽게 떠오른다. 하지만 아무리 생각해도 모르겠다. 아무리 생각해도 이상하다. 겨드랑이 털은 그저 진화상의 오류일까?
  .    


사실 뼈로 보호받지 않고 살로만 덮여있는 배와 옆구리 쪽도 털이 남아있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아니 더 나아가, 추위를 막기 위해서는 몸 전체에 털이 있어야 하는 것이 당연하다. 이렇게 보호 받아야 할 곳에 털이 사라지고 그 기능을 할 수 없게 되었다는 것을 진화라고 할 수 있을까? 아니면 부분적인 퇴화일까? 이것도 저것도 아니라면 진화상의 오류일까? 


머리털, 사타구니털이 진화라면, 겨드랑이 털은 그저 진화상의 오류이기만 할까? 너무 궁금하다!



*이 궁금증에 대해서는 이미 학술적인 자료나 정보가 있을 것입니다. 이 글은 단지 그러한 자료와 정보를  접하지 않은 상태에서 한 호기심이고 조야한 나름대로의 추측입니다. 그냥 픽션이라는 생각으로 너그럽게 봐 주시기 바랍니다.
  


*이전 글 다시 올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