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이 기사를 보면서 가수 정수라가 1983년에 부른 아 대한민국의 노래가 떠올랐다. 이 노래가 왜 갑자기 떠올랐는지는 잘 모르겠다. 필자의 잠재의식속에 있던 것이 올라온 것이라 설명하기가 어렵다. 아마도 노래 가사중에 "강물에 유람선이 떠있고" 라는 구절이나 "원하는 것은 무엇이던 얻을 수 있고" 같은 구절들과 연결되지 않았나 싶다. 아무튼 아 대한민국에 대한 위키피디아의 설명을 인용한다.
이 한강 인공섬의 건조비가 964억원이라는 사실이 너무 놀랍다. 또한 이 인공섬의 유지비는 얼마나 될지 걱정이다. 혹 이 인공섬이 애물단지로 전락하지 않을지 염려스럽다. 한 때의 권력욕이나 홍보를 위해 이것을 만들었다면 이건 참으로 황당하기 짝이 없는 일이다. 또한 건조비가 혹 외국 기업이 참여하여 엄청난 액수의 세금이 해외로 빠져나갔는지 여부도 궁금하다.
과연 우리나라가 이렇게 한가하게 한강에다가 이런 천문학적인 돈을 쏫아부어도 될 상황일까? 왜 이런 돈을 들여가면서 한강에 인공섬을 띄우는지 필자의 머리로는 도저히 이해하지를 못하겠다. 전시행정의 표본처럼 보인다. 이 인공섬이 어떤 효과를 거둘지는 별개로 하고 이러한 화려함 속에서 외면되는 그림자는 없는지 진정으로 살펴보아야 하지 않나 싶다. 이런한 천문학적인 국민의 세금을 좀 더 질실적이고 국민의 행복과 복지에 직결되는 그런 곳에 사용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성남시의 초화화 청사건립과 과연 무엇이 다를까 싶다.
이런 가시적인 투자 보다도 현실적으로 비가시적인 것에 대한 투자가 더욱 중요하다고 본다. 물론 무조건 나쁘다는 것은 아니다. 현실적인 여건이나 시기도 생각해야 하는 것이다. 더욱 중요한 것의 일례로 사회 안정망에 대한 투자 같은 것이 그런 것이다. 아이티의 대지진 참사가 그런 교훈이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해서는 이전에 포스트(2010/01/18 - [주절주절] - 아이티 지진 참사, 우리나라는 예외일까?) 를 올렸다. 대표적인 것인 남대문 방화 사건이다. 남대문 방화 사건은 가시적이고 화려한 것들을 마치 자신들의 업적처럼 홍보하기만 하지 그것을 진정으로 보호하고 사랑하는 의식이 빈약했음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이다. 문화적인 의식이 얼마나 천박한지, 그리고 이 천박함에 비례해서 과시욕과 권력욕은 얼마나 탐욕에 가까운지 알 수 있다. 정말이지 권력자들의 폐단이 가시적인 업적 쌓기를 통한 자신이 홍보라는 생각이 들 정도다. 정말 왜 이러나!
'주절주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4년의 노력과 단 한 번의 실수 (10) | 2010.02.16 |
---|---|
인간의 털은 왜 머리, 사타구니,겨드랑이에 가장 많이 날까? (8) | 2010.02.10 |
한강에 웬 떠다니는 인공섬이? (19) | 2010.02.06 |
독일, 유대인, 그리고 집시 (21) | 2010.01.29 |
장미란, 정말 가슴 아프다! (33) | 2010.01.28 |
김현중이 왜 비난 받아야 하나? (15) | 2010.01.20 |
인공섬이 설마 저거였나요?
전 기사를 안 봤는데... 정말로 엄청난 액수의 돈을 쏟아부으면서 대체 뭐하는건지 모르겠네요
정말 대체 뭐하려는 건지 모르겠어요~~
가수 정수라의 그노래가 생각나네요....그러나...
이런것 저런것 다 좋은데, 우선 선행되어야 할것들... 복지, 이것이 그나라의 정치력 및 권력자들이 얼마나 국민을 위하는가를 가름할수 있는 척도라고 생각됩니다... 촌블님의 글의 전적으로 동감을 합니다.
무엇을 하던 선우가 있고 완급이 있는 데 이 인공섬은 절실하게 와닿지 않는 것 같습니다.
현정부는 너무 눈에 보이는 업적에 취중하려는 경향이 짙어요.
대운하나 4대강만 봐도 너무 눈에 보이는 것에 목숨을 걸죠.
진짜로 필요한 것은 서민대중의 복지인데도 말이죠. ^^;
한강에 인공섬 3개를 띄워놓고 뭘 어쩌자는 것인지 정말 모르겠네요^^ 아무리 좋은 의도라 하더라도 현실과는 동떨어진 느낌입니다.
이젠 정부에서 저런사업을 하면 의심부터 하게되는군요.
말씀대로 왜 인공섬을 저런돈을 넣으면서까지 만들어야하는지.
건조비, 유지비도 만만치 않을 것 같습니다. 애물단지가 되지 않을 지 걱정이네요.
964억 짜리 수상복합레저 시설이라 ㅡ.ㅡ 지금 반포지구에 있는 레저 시설도 한강물 더러워서 잘 이용 안하고 있는 실정인데 말이죠 ;;
너무 전시적인 홍보 행정은 아닌지 걱정이 되는군요~~
광화문에서 스노우보드를 하더니만.....쩝!
너무 전시적인 홍보에 치우치는 것 같습니다~~
떠다니는 섬이라 신기한긴 하네요.. 근데 저걸 잘 유지하려면 돈이 엄청 들겠어요.. 수질에는 괜찮을지...
저도 잘은 모르지만 우리기술로 건조한 것인지, 유지비는 얼마나 들지, 얼마나 자주 활용될지 또 수질에는 영향이 갈지 참 걱정입니다.
비밀댓글입니다
오직 부작용이 생기지 않기만을 바랄 뿐입니다;;
지하철 지날때 본게 저거였군요~
조금 눈쌀이 지프러질라고 하는
어떻하지요~
해피송님, 반가워요^^
애물단지가 안될지 걱정입니다~~
뭐 생각이 있어 만들었겠지만..
사실 좀 생뚱맞은거 같아요..-_-;;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