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대문(숭례문)이 불타 버린지도 1년이 넘었다. 2008년 2월의 일이니 2년이 다되어 간다. 갑자기 남대문 생각이 나는 것은 오늘 아침 소변을 보고 난 후 닫지 않은 남대문(?) 때문이다. 실수로 열려진 남대문을 보면서 왜 이걸 "남대문이 열렸다" 라고 표현하는지 궁금해졌다. 인터넷 검색을 해보았으나 만족스런 답을 찾기 못했다.
야후 검색에서 찾아 본 "남대문 열렸다" 는 표현에 대한 답변들
http://kr.ks.yahoo.com/service/ques_reply/ques_view.html?dnum=IAK&qnum=1172358
http://kr.ks.yahoo.com/service/ques_reply/ques_view.html?dnum=AAN&qnum=428318&p=남대문%20열렸다&s=&b=1
http://kr.ks.yahoo.com/service/ques_reply/ques_view.html?dnum=BAJ&qnum=857201&p=남대문%20열렸다&s=&b=1
이보다 먼저는 미국 캘리포니아 화재를 접하면서 남대문이 떠오르는 거다. 왠지 모르겠다. 그러다 만약 우리나라에도 캘리포니아 같은 화재가 발생하면 어떻게 될까 생각까지 나아가더니 마침내는 산에 있는 절들을 비롯한 문화 유산들이 걱정이 되었다. 몇 년전 강원도의 산불로 낙산사가 전소되었던 쓰라린 기억도 있지 않는가(낙산사 전소기사 참고). 보도에 따르면 이번 캘리포니아 화재는 그 넓이가 엄청나다고 한다. 사망자를 포함한 인명피해와 재산피해도 엄청나다고 한다. 무엇보다도 인류의 환경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
남대문이 불타버린 건 이미 지나간 과거이고, 중요한 건 남대문을 어떻게 복원해서, 다시 국민들의 품으로 돌려놓는가가 중요한 문제이다. 또 관리의 문제이다. 철저한 관리 시스템을 갖추어서 더이상 이러한 어처구니 없는 일이 일어나면 안되겠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효한 것은 문화재에 대한 국민들의 태도가 아니겠는가? 문화재는 단순한 나무와 돌이 아니다. 무생물이 아니다. 만약 자신의 애완견은 마르고 닿도록 애지중지하면서 소중한 문화재에는 침을 뱉고 담배를 버린다면 이건 의식이 없다고 밖에 말 할 수 없다. 문화재는 단순히 돌덩이나 나무조각, 쇠조각이 아니라 우리 정신의 결정체이다. 선조들의 영혼이 담겨있는 것이다. 우리를 존재하게 하는 정신이 문화재를 통해 우리와 함께 공존하는 것이다. 우리가 그러한 문화재를 소중하게 다루지 않는다면 우리의 현존은 동시에 무가치해질 수 밖에 없다(빨래판으로 사용된 문무왕릉비). 과거를 소홀하게 다루는 국민은 현재도, 미래도 유치한 수준에 머물수 밖에 없는 것이다. 문화(재)를 사랑하는 태도가 후진국과 선진국을 구분하는 하나의 잣대가 되는 것이다. 오늘 우리를 존해하게 하는 문화재에 대한 자부심과 사랑이 없다면 어떻게 지금의 우리를 긍정하고 자부심을 가질 수 있겠는가?
기대된다. 다시 남대문이 열린다. 이제 남대문이 재건되면 항상 그곳에서 국민과 함께 하면서 슬픔을 위안하고 기쁨을 함께 나누던 그 남대문이 다시 우리의 품으로 돌아오게 된다. 남대문의 전소는 우리의 부끄러운 모습이다. 남대문이 전소되고 난 후 한 10년 동안 불탄 모습 그대로 보존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저기 있다. 그게 참된 교훈이고 교육이 아닐까 생각했던 적도 있다. 재만 남은 남대문의 흉측한 모습을 줄기차게 보게되면 문화재에 대한 우리의 의식도 좀 변화되지 않겠나 하는 속좁은 생각을 했기 때문이다. 지금 남대문의 복구가 한창이다. 이번에 남대문이 완전히 복구가 되면 그것이 프랑스의 개선문이나 영국의 런더 브리지처럼 국민들에게 활짝 개방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웅혼한 정신으로 우리를 다시 감싸주었으면 좋겠다. 종교를 떠나서 말이다. 예전의 그 남대문은 아니지만, 그 정신만은 웅혼하게 깃들어 있는 상징으로서의 남대문으로 다시 태어날 것이다. 이제는 이 남대문이 한국인이 살아있는 동안 영원히 같이 있어 주기를 소망한다.
남대문, 이제는 수치가 아니라 진정으로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으로 함께 했으면 한다.
2009/09/04 - [주절주절] - 장진영과 이영애, 그리고 게거품
2009/09/02 - [주절주절] - 다시 야만의 시대인가?
2009/08/30 - [주절주절] - 김대중 전 대통령 국장일 신세계 백화점의 큰 실수
2009/08/26 - [주절주절] - 이영애는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2009/08/24 - [음식] - 음식 포스트가 사랑스런 이유
2009/08/22 - [주절주절] - 일본의 야경은 왜 녹색일까?
2009/08/20 - [주절주절] - 서울의 야경이 왜 가장 밝을까?
2009/08/18 - [주절주절] - 우리 민족을 말한다
2009/08/15 - [주절주절] - 광복절을 맞으며...
2009/09/02 - [주절주절] - 다시 야만의 시대인가?
2009/08/30 - [주절주절] - 김대중 전 대통령 국장일 신세계 백화점의 큰 실수
2009/08/26 - [주절주절] - 이영애는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2009/08/24 - [음식] - 음식 포스트가 사랑스런 이유
2009/08/22 - [주절주절] - 일본의 야경은 왜 녹색일까?
2009/08/20 - [주절주절] - 서울의 야경이 왜 가장 밝을까?
2009/08/18 - [주절주절] - 우리 민족을 말한다
2009/08/15 - [주절주절] - 광복절을 맞으며...
'주절주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에서 도저히 못 살겠다" (8) | 2009.09.09 |
---|---|
재범 VS 한국에서 도저히 못 살겠다 (5) | 2009.09.08 |
남대문이 열렸다! (17) | 2009.09.06 |
장진영과 이영애, 그리고 게거품 (5) | 2009.09.04 |
다시 야만의 시대인가? (3) | 2009.09.02 |
김대중 전 대통령 국장일 신세계 백화점의 큰 실수 (0) | 2009.08.30 |
그동안 국사책에서나 우리 문화재는 아름답고 소중하다고 머리로만 배워왔었습니다.
그런데 저번 남대문 불타는거 보니까 온몸에 전율이 찌르르 하더군요. 기분이 이상했습니다.
태어나서 처음으로 우리 문화재를 가슴으로 느껴 봤습니다. 다시는 이런 일이 없도록 우리 문화재 아껴야겠습니다.^^
저도 남대문 불타는 것 보면서 제 자신이 부그럽기도 하더군요. 한사람의 방화라기 보다 우리 모두의 책임이란 생각이 들더군요.
정말, 너무나 안타까운 사건...
그날 당구장에서 친구들과 당구를 치며...
불타는 장면을 보았는데...
평소 그렇게 좋아하던 당구도...
하나도 즐겁지 않더라고요 ㅜㅜ
다시는 그런 비극이 생기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힘찬 한 주 보내세요~!
그렇죠. 다시는 이런 비극이 발생하지 말아야 겠습니다.
악랄가츠님 글 잘보고 있습니다. 님도 힘찬 한주 보내시길...
남대문 볼때마다 안타깝게 느껴진다는..ㅠ
제가 오늘 좀 유치한 계기로 남대문 생각이 났는데 문화재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봐야 겠어요^^
남대문의 화재를 통해 우리 문화재에 대한
애정을 전 국민이 가슴 속에 담았을 것입니다.
남대문의 복원을 통해
그 애정이 영원히 지속되길바랍니다.
김 전 장관님께서 이렇게 찾아주셔서 너무 영광입니다.
남대문 전소가 장관님에게는 더더욱 가슴 아프셨으리라
생각이 드는군요. 우리나라의 유무형문화재에 대해 관심가져주시는 데 너무나 감사한 마음입니다.
건강하시구요, 좋은 한 주 되시기 바랍니다.
남자의 대문이란 의미가 아닐까요..
암튼 남대문이 복원되면 우리 사회의 인식도 변화됐으면 하는 바람을 가져봅니다.
문화재를 좀 더 친숙하고 소중한 존재로 인식했으면 해요.
지식이 잛다보니 모르겠네요^^;; 이제 남대문이 복원이 되면 정말 깊은 애정을 갖고 싶네요. 다시는 이런 불행이 생기지 않았으면 합니다.
ㅎㅎㅎ
댓글을 안달수 없군요..
왜냐구요???
로그인 안하고 추천해 표시가 안나 ㅠ.ㅠ <- 노털이라 별수 없다는 ㅋ
이번주도 멋지게 시작하시길 바랍니다.
ㅎㅎㅎ 영웅전쟁님, 너무 고맙습니다.
즐거운 저녁 되세요^^
남대문 불타는 것을 보고 울던 기억이 나네요..;;
다시는 소 잃고 외양간 고치는 일이 없었으면 좋겠는데 말이에요..;;
새로운 일주일의 시작입니다.^^ 힘차에 시작하세요~
정말 적절한 지적같습니다. 문화재에 대한 애정이야 말로 참된 녹색 운동의 기반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드네요^^
이러나 저러나 정부의 관심은 그다지 없는거 같습니다.
언제나 일이 닥친 그 순간만.
어제 서울역에서 명동쪽으로 쭈욱 걸어가면서 열린 모습은 아니지만 가운데 벽의 가려진 일부가 없길래 그 속으로 조금 엿본 기억이 있긴 합니다 ^^
정부가 관심을 가지지 않으면 도대체 누가 관심을 가져야 할까요? 참 부끄러운 현실이로군요; 입으로 녹색만 외칠것이 아니라 문화재에 대한 사랑이 진정 녹색 성장임을 자각했으면 좋으련만...즐거운 저녁 되세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제가 퍼가도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