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드라마/선덕여왕

<선덕여왕> 주인공들, 경상도 사투리를 쓰면 어떨까?

  

<선덕여왕> 주인공들, 경상도 사투리를 쓰면 어떨까?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suuho1004/P9cP/117?docid=19ViK|P9cP|117|20090622222021



선덕여왕 재방송을 보고 있다. 이런저런 사정으로 TV를 볼 수 없다보니 인터넷 유선방송을 보고있다. 선덕여왕 35회까지를보았다. 인터넷에서는 미실의 난을 이야기하고 있는데, 재방송으로는 춘추가 등장하는 그 언저리를 맴돌고 있다. 인터넷에서 앞선 내용들을 이야기하고 있지만, 뒤쳐져서 보아도 재미있다. 이야기가 재미있고 그 이야기를 전개하는 구성이 입체적이고 짜임새가 있어 너무 흥미 있고 재미있게 보고 있다.

특히 촬영지의 규모가 커서 화면 속에 등장하는 배경이 스펙터클하게 느껴진다. 당시 규모가 엄청났던 서라벌의 이미지를 고스란히 잘 전달하고 있다. 오늘날 경주에서 느끼는 신라의 향기는 참으로 깊고 웅혼하다. 우리 조상의 영혼과 숨결이 흙속에, 바람속에, 나무속에, 아직도 살아 숨 쉬는 곳이기에 그러할 것이다.

삼국이라는 역학 구도에서 신라의 통일이 안타깝게 여겨지는 부분이 있다. 고구려가 삼국을 통일했으면 어떠했을까 하는 이룰 수 없는 바램을 해보기도 한다. 백제는 또 어땠는가? 당시에 신라만이 그렇게 아름답지는 않았을 것이다. 그러나 지나간 역사이다. 아득한 옛일이다. 신라는 오늘날 우리를 있게 했다. 혹자는 고구려가 삼국을 통일했다면 중국의 한 성으로 전락했을지도 모른다고 하지 않는가? 몽고가 중국에 동화 되었듯이 말이다. 그렇다면 작은 신라가 우리 민족의 입장에서는 현명했었는지도 모른다. 그 누구도 알 수 없지는 말이다. 아무튼 신라를 너무 폄하해서는 안되겠다. 신라는 참 편안한 곳이다. 우리의 유전자 속에 깃들어 있는 흔적을 상기시켜 주기 때문일까?



또한 의상이나 장신구등 소품들도 화려하고 우아해서 사극의 전통적인 기품을 느낄 수 있다. 아마도 철저한 고증을 거쳤기에 가능한 일일 것이다. 우리의 이런 전통적인 기품이 오늘날도 일어나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해 보기도 한다. 주인공들이 입고 있는 옷가지 하나하나에서 신라의 세련미를 느낄 수 있다. 정말 그랬을까 할 정도다.

그런데 좀 우스갯소리로 들릴지 모르겠지만, 왜 주인공들이 사용하는 말이 서울 표준어이어야 하는가이다. 드라마 <선덕여왕>의 무대는 서라벌이다. 경상도이다. 우리 민족의 이야기를 보편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지역색을 뺀 것이겠지만 그래도 한 두 인물 정도에게는 경상도 사투리를 구사하도록 했으면 좋았을 것이다. 망구 필자의 개인적인 감각이지만 신라를 배경으로 하는 전통 사극에서 사투리 하나 구사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시전에서, 마을의 여기저기에서 사투리가 들리는 게 드라마를 죽이기야 할까? 죽방이나 고도 같은 인물이 사투리를 사용해도 무방하지 않을까? 그랬더라면 좀 더 구수한 신라의 향기를 전달 할 수 있지 않을까 싶다.



의외의 인물 중에서도 사투리를 구사하면 좋은 경우도 있을 것이다. 만약 만덕 공주가 경상도 사투리를 사용하면 어떨까? 이건 참 웃음만 나오기도 하겠다. 그래도 성골다운, 공주다운 품위를 잃지 않고 경상도 사투리를 쓰는 방식이 분명이 있을텐데 말이다. 당시에는 그러지 않았겠는가? 언어의 고고학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 아쉽다. 호랑이는 가죽을 남기지만 웅혼한 포효를 남기지 못하는 것이 안타깝듯이. 만덕 공주가 아니더라도 미실, 김유신이나 비담이 경상도 사투리를 사용하면 어떨까? 화랑들 중에서 경상도 사투리를 사용해도 불편하기만 할까? 춘추는 어떨까? 춘추가 경상도 사투리를 하면 신비스러운 기운을 뿜어내지 않을까? 지금 등장(나는 지금 재방송을 보고있다)하는 춘추는 마치 제갈량을 보는 듯 하다. 이런 춘추가 경상도 사투리를 사용하면 신비스러움을 풍기지 않을까?



드라마 <선덕여왕>을 재방송으로 보면서, 신라라는 시대적인 배경에서 귀족들이 사용하던 경상도 말이 살아남지 못한 것이 못내 안타깝다. 솔직히 드라마 <선덕여왕>, 아니 모든 사극들이 다 마찬가지겠지만 철저한 고증을 거쳐 제작이 되지만 <말>이라는 것 하나는 오직 서울 표준어를 쓰는 다소 이상한 모양새를 취하지 않을 수 없다. 이것이 말의 한계다. 어쩔 수 없는 일이다. 몇 년 전에 등장인물 모두 지방 사투리를 사용하는<황산벌>인가 하는 영화가 있었다. 백제는 전라도 사투리를, 신라는 경사도 사투리를. 코믹한 영화였다. 그러나 일방적으로 사투리만을 사용하는 것도 잘못되긴 마찬가지이다. 당시의 왕족과 귀족들이 가벼이 사투리를 구사 했을리 없기 때문이다. 분명 품위있게 사투리를 구사했을 것이다. 비록 지금은 사투리로 되었지만, 당시에는 왕족과 귀족들 사이에서 실제로 사용되던 말이 있었을 것이다. 만약 그 말이 마치 무덤의 유적이 발견되듯이 밝혀져 사용될 수 있다면 전통 사극의 재미는 얼마나 더 좋아 질까? 발견되는 것이야 불가능하겠지만 사극에서 서울 표준말을 사용하듯이 사투리를 품위있게 사용하는 방식이랄까 뭐 그런 것을 연구해 보면 어떨까? 헛된 바램이기만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