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돈의 시간은 참 길었다. 대체의 드라마들이 그렇듯이 <신언니>도 이제 갈등들이 해소되면서 질서가 잡혀가는 느낌이다. 아니 질서가 잡혀 간다기 보다는 인간들 사이의 갈등들이 가닥을 잡아가는 분위기다. 시청자들은 바다 위에서 흔들리는 손바닥만한 배를 지켜보듯이 그렇게 혼란스러운 인간의 마음을 지켜보았을 것이다. 모두다 한결 같이 상처 입은 인간들이고, 그 상처 때문에 서로의 운명이 어긋나기도 하는 그런 존재들이었다. 이 어긋났던 운명들에 대해서 두서없이 언급해 볼까 한다.
우선, 부모와 자식의 어긋남이다. 이 어긋남의 절대적인 피해자 중에 한명이 은조이다. 은조의 내적인 상처가 가장 대표적이다. 감수성이 예민하던 어린 시절부터 은조는 송강숙에 의해 심적인 상처를 받았다. 냉소적이고 무감한 여자아이로 변했다. 무엇보다도 속물 같은 엄마 송강숙에 대한 분노와 엄마라는 사실의 모순적 현실에서 방황하는 약한 딸이기도 했다. 은조는 아빠의 얼굴도 모르는 처지다. 사생아인지도 모른다. 이런 은조에게 구대성의 사랑만큼 특별한 것이 있을까? 구대성이 은조에게 특별한 존재라는 건 바로 이런 이유 때문임은 두 말 할 나위가 없다.
기훈 또한 마찬가지이다. 은조와 처지가 너무 비슷하다. 어린시절 자신으로 인해 엄마가 죽고 새엄마의 냉대속에서 자식 같지 않은 취급을 당하며 살았다. 기훈이 대성참도가로 들어 온 것도 그것에 대한 반항심이다. 은조처럼 기훈의 젊은 시절 방항도 바로 부모와의 어긋남에 있는 것이다. 기훈에게도 구대성의 존재가 소중한 것은 바로 그런 이유 때문이다.
둘째는, 인간들 사이의 피할 수 없는 오해와 소통의 부재이다. 세상에는 무수한 나만이 존재하면서도 동시에 너만 존재한다. 이러한 사실은 고독한 나를 의미하며, 합일이 불가능한 상황을 의미한다. 세상을 둘러보면 이 오해를 통해 생기는 갈등들을 쉽게 목격할 수 있다. 인간이 천국을 꿈꾸는 것은 바꾸어 말하면 현실이 꿈과 너무나 다르기 때문이다. <신데델라언니>에서 일어나는 오해들은 인간의 운명이라는 사실이다. 이 오해를 해소한다는 것은 너무나도 지난한 과정임을 은조-기훈-효선의 갈등을 통해서 알 수 있다. 그러나 인간이라면 끝가지 포기할 수 없는 것이 소통의 이룸이다.
셋째, 사랑과 외로움이다. 사랑과 외로움은 동전의 양면이다. 아내와 사별한 구대성의 외로움이 그렇다. 구대성은 뼛속까지 외로운 사람이었다. 송강숙이 쉽게 대성참도가의 안방을 차지한 것도 따지고 보면 이 구대성의 외로움인지 모른다. 그리고 한없이 선량한 마음도 이 외로움이 열어 놓은 것일 테다. 속물인 송강숙도 마찬가지이다. 그녀가 하느님, 부처님과 맞짱을 뜨며 철저하게 자신의 딱딱한 껍질 속에서 살아가는 것도 외로움의 한 형태이다. 남자들에게, 현실에 계속해서 배신을 당하면서 속물적인 존재가 되어버린 송강숙은 누구보다 사랑이 필요한 외로운 존재였다. 그러니 구대성으로부터 사랑을 확신하는 순간 송강숙은 부끄러운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이다. 그녀를 진정으로 사랑해주는 존재가 있다는 사실에 말이다. 은조가 사랑을 그토록 갈구한 것도, 기훈과 효선이 사랑을 바란 것도 바로 그런 외로움이다. 인간은 얼마나 외로운 존재들인가? 그러기에 얼마나 사랑을 갈망하는 존재들인가? 그 사랑이 육체적인 것이던, 정신적인 것이던 말이다. 외로운 사람들끼리 사랑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지 않을까?
인간의 삶은 본질적으로 비극적이다. 희극은 이 비극 위에 핀 꽃이다. 비극적인 본질에 대한 위안이고 위로이며 망각의 제스처이다. 희극으로 감싸진 삶이 좋긴 하다. 즐겁고 유쾌하다. 하지만 가끔씩 그 희극의 속살을 헤집고 저 밑바닥 비극의 본질을 살펴보는 것도 좋을 듯싶다. 어긋나는 것들에 대한 생각 때문에 말이다.
'드라마 > 신데렐라언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데렐라 언니, 정우와 효선이 사랑스럽다! (19) | 2010.06.06 |
---|---|
신데렐라 언니, 결말이 실망스러운 이유? (13) | 2010.06.04 |
신데델라언니, 갈등하는 인간들의 혼란스런 모습들? (0) | 2010.05.22 |
신데렐라 언니, 송강숙은 효선에게 다시 돌아올까? (6) | 2010.05.22 |
신언니, 바보같은 효선의 복수 구대성을 닮았다? (4) | 2010.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