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드라마/선덕여왕

선덕여왕, 염종에게 도대체 <삼한지세>가 뭐길래?

 

선덕여왕, 염종에게 도대체 <삼한지세>가 뭐길래?

http://eto.freechal.com/news/view.asp?Code=20091216161556527


드라마 <선덕여왕>을 보면 내용상의 갈등구조들이 드라마의 극적인 재미를 높이고 있다. 미실과 덕만, 유신과 비담, 선덕여왕과 비담등 큰 갈등 구조를 뼈대로 더 작은 갈등 구조들이 가지를 뻗으며 전개되고 있다. 드라마 <선덕여왕>이 사극이라 하기에 지나치게 역사 문헌과 심하게 차이가 나는 것에 상당한 비판이 가해지고 있으나, 드라마적인 측면에서 볼때는 이러한 극적인 요소들이 재미와 흥미를 자아내기에 충분하다. 이제 드라마 <선덕여왕>은 이러한 갈등 구조들이 해소되면서 마지막으로 치닫고 있다.


이 갈등 갈등구조들 중에 가장 안타까운 갈등 구조가 있다면 비담과 염종의 갈등구조이다. 이것은 대개의 갈등구조들이 정치적인 정략에서 나온 것과는 달리 상당히 의미있는 갈등을 추론하게 한다. 이것이 작가들이 의도한 것인지 아니면 그러한 추론을 단순하게 가능하게 하는지는 확실하게 말할 수 없다. 아무튼 필자 개인적으로 이 비담과 염종의 갈등 구조는 이 드라마의 백미중에 하나라고 해도 손색이 없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필자는 왜 이러한 판단을 하는 것일까? 권력을 차지하기 위한 권모술수와 정략의 세계에서 인간의 휴머니즘이 우뚝 솟아나기 때문이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ejutaek/CqHs/3271?docid=1Cfyj|CqHs|3271|20091005081745

염종은 무역상인이다. 그가 문노와 함께 <삼한지세>를 만들 때 무역상으로서 지역적인 발판이 없었다면 <삼한지세>는 탄생할 수가 없었다. 그리고 엄청난 사비를 들인다. 이것은 염종이 넓게는 권력에 대한 탐욕이랄 수 있지만, 그 동기를 좀 더 좁혀보면 자신의 상권을 확대하고 하는 욕망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역사상에서 상인들의 이윤 추구의 욕망이 얼마나 강력한지를 알고 있다. 우리의 상식을 벗어난다. 설마 그럴라구하지만 실제 그렇다. 마르코 폴로가 왜 중국으로 갔을까? 목숨을 걸고 중국을 수없이 왕래한 동기는 이윤의 추구였다. 콜럼부스는 어떤가? 미지의 땅에 대한 호기심이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했다고만 할 수는 없는 것이다. 그 모험의 추동력을 제공해 준 것은 황금이었다.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을 읽고 좀 더 빠른 지름길로 가려다 발견한 것이 아메리카 대륙인 것이다. 마르코 폴로의 <동방견문록>이나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대륙의 발견이라는 역사적인 성취의 이면에서 이러한 이윤추구의 동기가 내재해 있는 것이다. 아무튼 이런 상인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일까? 바로 지도이다. 지도가 세밀하면 세밀할수록 이윤을 추구할 수 있는 가능성도 더 커지는 것이다. 마르코 폴로의 무역로나 지동설을 이용한 항해로나 이윤 추구를 위한 가장 중요한 수단의 하나가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염종에게 <삼한지세>의 의미는 분명하게 드러난다. 즉, 그가 왜 엄청난 시간과 돈을 들여 문노와 함께 <삼한지세>를 제작하게 되었는가가 분명해 지는 것이다. 문노가 <삼한지세>를 통해 삼한일통의 대의를 이루고자 했다면, 염종은 <삼한지세>를 통해 상권을 넓히는데 그 의도가 있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목숨을 건 상인들의 이윤 추구의 욕망의 선례를 본다면 이것이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대단히 중요한 메타포를 우리에게 제공해 준다. 권력 추구와 이윤추구라는 가치가 결합된 인간의 욕망을 읽게 된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ejutaek/CqHs/3271?docid=1Cfyj|CqHs|3271|20091005081745


그런데 비담이 이토록 소중한 <삼한지세>를 유신에게 넘겼다는 사실을 염종이 어떻게 참을 수 있겠는가?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니 드라마상에서 비담이 <삼한지세>를 유신에게 넘기자 완전히 두껑이 열려 길길이 날뛰는 것이다. 상인과 지도의 공동 운명체적(?) 성격을 이해하면 염종이 왜 이렇게 미쳐 날뛰는 가를 이해할 수 있는 것이다. 삼한일통을 통한 상권확대와 이윤의 추구가 물거품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렇다면 방법은 단 하나, 비담을 부추겨 권력을 찬탈하는 수밖에 없는 것이다. 비록 <삼한지세>를 유신에게 건네주긴 했지만, 또한 <삼한지세>를 회복할 수 있는 존재도 비담인 것이다. 그러나 이 비담을 부추기는 데 가장 걸림돌이 되는 것이 바로 선덕여왕에 대한 비담의 <사랑> 인 것이다. 사랑이란 상대적이기에 사랑은 작은 오해에서도 깨어질 수 있는 너무나도 약한 존재인 것이다. 아무리 비담의 사랑이 변하지 않고 순수하고 진실하다고 하더라도, 선덕여왕의 상대적인 상황과 맞물려 있는 것이고 보면 언제던지 그 순수함과 진실함은 의심받을 수 있는 것이다. 염종을 비롯한 미실파가 노린 것이 바로 이것이다. 이렇게만 되면 비담은 어쩔 수 없이 자신들과 함께 할 수 밖에 없는 운명인 것이다. 결국 이렇게 비담의 사랑은 파멸에 이르게 되고 그의 배신의 욕망이 삭터게 되는 것이다.


비담의 순수하고 진실한 사랑과 염종의 세속적인 탐욕의 갈등, 이 갈등이야말로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우리가 놓쳐서는 안 되는 갈등들 중에 하나가 아닌가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