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절주절

작가가 구걸하고 굶어죽는 사회?


시나리오 작가 최고은씨가 굶어서 죽는 충격적인 사건이 발생했다. 정말 믿을 수 없는 일이다. 너무나도 놀라운 일이지만 그 놀라움의 한켠에서 의문이 일어났다. ‘그녀에게는 가족이 없는가?’ 하는 의문이다. 그녀가 죽고 이름도 긴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 이 그녀의 죽음을 두고 뒤늦게 “명백한 타살”이라는 극한 표현을 사용하며 분노했지만, 그렇다면 전국영화산업노동조합은 왜 최고은 작가의 비참한 삶을 죽을 때까지도 몰랐을까 하는 의문이 들기도 한다. 타살이라면 어느 누구도 그 책임에 자유로울 수 있을까? 타살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 조차도 말이다.



‘굶어죽었다’니! 사람이 어떻게 가만히 굶어 죽는단 말인가? 필자의 판단으로는 지병이 있었던 것으로 보아 치료를 받지 못해 거동이 불편했고 그러다 보니 제대로 먹지 못했던 것이 아닌가 추측된다. 그녀가 남긴 쪽지에 “그동안 너무 많은 도움을 주셔서 감사합니다”며 “창피하지만, 며칠째 아무것도 못 먹어서 남는 밥이랑 김치가 있으면 저희 집 문 좀 두들겨 주세요라고 밥을 구걸하다시피 하는 메모를 남겼다고 하니 작가의 살고자 하는 의지가 얼마나 강했던가를 알 수있다. 그러나 이런 메모를 남길 정도라면 다른 방법을 이용해서 굶어죽는 것만큼은 피할 수 있지 않았을까? 너무나도 슬픈 일이다. 이런 비현실적인 일이 어떻게 21세기 자랑스러운 대한민국에서 일어날 수 있을까? 4대강에 쏟아붓는 천문학적인 돈임에도 인간에게는 도대체 얼마만큼의 돈을 투자하는 것일까. 가난한 우리의 작가에게는 왜 이다지도 매몰차기만 했을까.


고 최은정 작가의 명복을 빕니다
http://dailiang.co.kr/news/articleView.html?idxno=27555

그런데 더욱 심각하게도 신인 작가의 이런 비극적인 죽음이 우리 사회의 비현실적인 현실을 상징하는 것이라 더욱 걱정스럽다. 왜 이런 비현실적인 비극이 일어나는 것일까? 우리사회의 지나친 경쟁주의와 물신주의, 그에 따른 패배의식이 비정상적인 수준까지 도달한 것은 아닐까? 무조건 상대를 밟고 올라가려는 무서운 현실이 아닐까? 승자 아니면 패자가 되는 살벌한 경쟁만이 횡행하는 현실에서 인간관계는 붕괴될 수 밖에 없으며 소통의 부재는 피할 수 없는 결과가 아닐까? 그기다 인간성은 황폐해 질 수 밖에 없다. 

 

분명 그녀에게는 찾아갈 만한 사람들이 있었을 것이다. 찾아가야만 했다. 그러나 최고은 작가가 가족을 찾아가지 않았다는 사실을 우리는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 가족에게 부담을 주지 않으려고 했을까? 그런데 그 부담이라는 것이 ‘부담스러울 수밖에 없는 자신의 처지‘에서 비롯되었음을 부정할 수 없다. 결국 작가로서의 절망이었을 것이다. 우리가 화려한 영화를 보고 드라마를 보면서 영화배우들과 제작자들에게 상업적인 이익을 제공하는 동안 최고은 작가는 팔리지 않는 자신의 작품과 함께 쓸쓸하게 죽어갔던 것이다. 이렇게 화려한 영화의 이면에 이런 비극적인 작가가 있다는 사실은 바로 혹독한 경쟁의 횡포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왜 그녀는 가족에게 찾아가지 않았는가. 확실한 것을 알 수 없다. 그러나 활실한 사실은 분명 힘겨운 사연이 있을 것이고 우리가 그것을 쉬 평가할 수 없다는 것이다. 비극적인 상황에서 그냥 속수무책으로 굶고만 있었다는 것은 작가로서 그녀의 고단했던 삶과 절망적인 심정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는 것이다.

 

가족 뿐만이 아니다. 고인이 된 작가가 단편 영화 '격정 소나타'로 제4회 아시아나 국제단편영화제에서 수상하면서 영화계에서 적잖은 각광을 받았던 것으로 판단해보면, 영화계 안팎으로도 일면식이 전혀 없지는 않을 것이다. 그동안 많은 누를 끼쳤을 수 있지만 그렇다고 해도 긂어죽어야 하는 최악의 상황에서 인연의 끈을 연결하지 않았다는 것은 아무리 생각해도 이해하기가 힘들다.



고 최고은 작가는 예리하게 잘라져 동강난 우리 사회의 황량한 단면을 소름끼치게 보여주는 상징적인 존재이다. 겉으로 화려한 우리 사회의 잘라진 얼룩진 단면이다. 그야말로 자신의 방에서 한마리의 벌레가 되어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