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드라마/제빵왕 김탁구

제빵왕 김탁구, 신유경과 서인숙의 운명적인 한판?



드라마 <제빵왕 김탁구> 결말을 향해서 나아가고 있다. 이 결말에 대한 기대중에 서인숙과 신유경의 대립에 대한 결말이 있다. 신유경과 서인숙은 극단적인 부류의 여성이다. 서인숙의 어린 시설을 알 수는 없지만 유복하게 자랐음을 짐작할 수 있다. 만약 그녀의 어린 시절이 불행했다면 과연 서인숙이 자신의 처지와 같은 사람들을 그토록 무시할 수 있을까? 탁구나 유경을 그토록 ‘천박한 인간’ 들로 업신여길 수 있을까? 누구라도 서인숙에게 정을 느끼기가 어렵지 않을까? 한승재 같은 부류의 인간은 제외하고 말이다. 유유상종이란 말이 정말 잘 들어맞는 것 같다.


KBS 드라마 포토박스 사진 캡처

이와는 반대로 신유경은 불행한 어린시절을 거쳤다. 아버지의 끊임없는 폭력으로 악몽같은 어린 시절을 보냈다. 이런 어린 시절을 겪다보니 자기 체험에서 우러나오는 인간과 사회에 대한 사랑과 분노를 느낄 수 있다. 탁구에게 한 없이 너그러우면서도 서인숙에게는 사랑하는 탁구를 포기하면서까지 복수를 결행한다.


여기에서 재미있는 사실은 탁구와 마준과 유경의 인물 비교이다. 탁구는 불행한 어린 시절에도 불구하고 인간과 세상에 대해 대단히 낙천적이다. 이에 반해 구마준은 탁구와는 정반대로 인간과 세상에 대해 반항적이고 복수심으로 가득하다. 유경의 경우는 탁구와 마준의 중간쯤에 위치해 있다. 유경이 탁구와 마준 사이에서 갈등하는 것도 바로 그런 까닭이다. 즉, 유경은 자신과 같은 처지에 있는 인간들에게 대해 애정을 보이면서도 서인숙과 같은 인간에 대해서는 강렬한 복수심을 느끼는 것이다. 아무튼 서인숙과 신유경, 이 극단적인 두 부류의 여자들이 대립을 하면서 그런 결말을 맞게 될지 기대가 된다.  


서인숙을 보면 세 살 버릇이 여든까지 간다는 말이 딱 들어맞는 것 같다. 그녀가 아무리 남편 구일중으로부터 사랑을 받지 못하는 외로운 존재라고 해도 이러한 사실이 그녀의 천박하리 만큼 ‘업신여기는 태도’ 를 정당화시킬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사실 뒤집어 생각해서 그녀의 업신여기는 태도야 말로 그녀를 외롭게 하기에 중분하다는 생각이 든다. 서인숙의 더러운 인간성을 보면 구일중이 얼마나 꼴도 보기 싫을지 오히려 서인숙과 함께 살아야 하는 구일중이 너무 불쌍하게 여겨질 정도이다.

KBS 드라마 포토박스 사진 캡처



서인숙은 겉으로는 고상한척 위세를 다 떨고 있지만 가장 저질의 인간이다. 구일중이 거성의 회장이면서 가부장적인 모습을 드러내고는 있지만 자신보다 못한 사람들을 업신여기고 비웃는 그런 인간은 아니다. 오히려 따스한 마음이 있다. 그러나 서인숙은 달라도 너무나도 다르다. 우리가 서인숙이란 존재를 ‘품격있는‘ 자신의 생활 범위 안에서만 보아왔고, 간혹 단지 이질적인 존재인 탁구와 유경을 대하는 태도를 통해 서인숙의 일면을 보아오긴 했지만, 그것만으로도 서인숙이 얼마나 잘못된 삶을 살고 있는지를 알 수있다.


유경이 밑바닥 현실에서 치고 올라오면서 이제는 서인숙의 며느리라는 신분에까지 상승을 하였지만 그녀의 근본은 서인숙과는 완전히 다르다. 신유경은 약자의 마음을 헤아리는 인간이고 마음 깊숙이에 따뜻한 인간미가 살아있는 존재이다. 표면적으로는 서인숙에 대한 복수를 노리며 거성가의 며느리가 된 유경이 편의상 악녀가 되었다고 말하지만 그녀는 영원히 악녀가 될 수 없는 인간이다. 결코 서인숙처럼 뼛속 깊이에 까지 악이 차있는 그런 인간이 아닌 것이다.




그렇다면 서인숙과 신유경은 다른 방식으로 그 운명을 맞이해야 한다고 본다. 아니 운명이라고 하기 보다는 자신들의 행위에 대한 결과같은 것이라고 하는 것이 더욱 좋겠다. 아무튼 서인숙은 법의 심판을 받아야 한다고 본다. 한승재와 함께 말이다. 이미 그녀는 도덕적으로 뿐만 아니라 법률적으로 동정의 여지가 없다. 이와는 달리 신유경은 서인숙이 법의 심판을 받는 그 사실을 통해 전향적으로 자기 본질 찾기에 나서야 한다고 본다. 즉, 어떤 결정적인 계기로 자신의 복수를 멈추어야 한다고 본다. 신유경은 자신의 본래의 모습으로 반드시 돌아가야 하기 때문이다. 그래야 진정한 신유경이 되는 것이다.


이렇게 서인숙과 신유경을 피상적이나마 비교해 보았다. 이들의 대립은 단순히 개인들의 대립이기 보다는 서인숙과 신유경으로 상징되는 ‘그 어떤 것’ 으로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야말로 그 대립적인 요소들이 풍부하기 때문이다. 특히 그들의 삶으로, 어린시절로, 내명적인 모습으로 시야가 확대되면 될 수록 그 상징성이 더욱 더 풍성해 질 것이다. 너무나도 상반되고 대조적인 인간들이기 때문이다.  아무튼 서인숙과 신유경의 대립의 결말이 어떻게 날지 참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