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드라마/신데렐라언니

신데렐라언니, 은조가 아닌 송강숙의 죽음이 보인다?



신데렐라언니, 은조가 아닌 송강숙의 죽음이 보인다?



죽은 구대성의 일기장을 보고 넋을 놓고 있는 송강숙에게서 죽음의 그림자를 읽는다. 그런데 그녀에게 어둠으로 몰려오는 것은 아이러니하게도 사랑이란 것이다. 진실한 사랑이란 것이다, 송강숙은 단 한 번도 사랑을 받지 못한 존재였다. 오직 생존을 위한 욕구만이 뱀의 독아처럼, 곤충의 더듬이처럼 돋아나 삶을 더듬으며 살아가는 존재였다. 송강숙에게는 오직 자신의 독아에 걸리는 존재만이, 자신의 더듬이에 느껴지는 그 표면만이 중요할 뿐이다. 그런 생존의 본능만이 도사리고 있는 존재이다. 이러한 삶의 태도가 개인적으로 굳어진 것인지, 사회적인 방어의 일종인지는 알 수 없지만 말이다.


이런 송강숙은 거친 생존의 과정을 거쳐왔다. 생존이 본능인 그녀에게서 죽음을 읽는다는 것은 다소 황당할지도 모르겠다. 죽음을 결코 생각할 수는 없는 인간처럼 보인다. 파란만장한 삶의 질곡 속에서도 굿굿하게(?) 생존해온 송강숙이고 보면 죽음이란 너무 사치스럽기까지 하다. 그런데 이런 송강숙이 죽음을 선택한다면 어떻게 될까? 송강숙에서 느껴지는 것이 바로 이러한 암울한 그림자다. 송강숙이 죽음을 선택할 수 있는 개연성은 충분하다.


우선, 그녀가 죽은 구대성의 진실을 확인했다는 것이다. 그녀가 만났던 어느 남자들과는 달리 구대성은 그녀를 진실하게 사랑한 인물이다. 속물인 송강숙에는 처음으로 느끼는 충격이다. 송강숙의 변화를 어떤 식으로든 보여주려고 한다면 과연 그 변화는 어떤 성격의 겻인지 분명하다. 그것은 송강숙의 철저한 자각이다. 구대성은 송강숙에게는 새로운 삶으로 나아가는 문인 것이다. 죽은 구대성을 따라간다는 것은 송강숙의 육체적인 죽음만이 아니라 진정한 자각의 은유가 되는 것이다.

 


둘째로는, 단순한 생물적인 엄마로서의 은조와의 관계이다. 구대성의 사랑을 확인하면서 송강숙은 은조에 대한 죄책감에 시달릴 수밖에 없을 것이다. 은조에게 자신은 어떤 존재였던가? 은조의 상처가 얼마나 컸을까에 뒤늦은 생각은 양심의 가책 그 이상일 것이다. 이런 자각은 은조에게 정신적인 엄마로서의 모습을 간절하게 요구할 것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송강숙이 개과천선하고 은조를 다독이는 그런 설정은 맥이 풀리는 설정이다. 이 지점에서 송강숙의 죽음을 은유로 이용할 가능성이 크게 보인다. 죽음을 통한 새로운 탄생이라고나 할까.


셋째로, 그녀가 대성도가의 안방마님으로 남아있기가 힘들다는 판단이다. 대성도가는 동화적인 상상력의 세계이며 남아 있어야 할 존재들이 한정적이라는 생각이다. 송강숙이 동화적 세계인 대성도가를 짖밟은 존재라면 그곳을 떠나는 것이 마땅하다는 판단이다. "왕자와 공주가 오래 오래 행복하게 살았답니다." 하는 식으로 말이다. <신데렐라 언니>는 동화를 비틀고 있기에 이러한 결말이 빗나갈 가능성은 크지만 송강숙의 죽음을 생각해 볼 수 있는 여지는 많다. 동화적인 결말의 고루함과 일치하는 것도 아니고 말이다.  이것은 권성징악적인 식상한 결말로 볼 수는 없을 것이다. 송강숙이 대성도가를 떠나는 것이 반드시 죽음만일 이유도 없고, 필요는 없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했듯이 송강숙의 죽음은 여러모로 강한 진폭을 가지게 될 것이다.


송강숙이 철저하게 자각한다면 송강숙이 죽을 개연성이 무척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런 개연성에 대해서 한 번 생각해 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