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드라마/선덕여왕

MBC연기대상, 미실 드디어 황후가 되다!



MBC연기대상, 미실 드디어 황후가 되다!



미실 이미지 http://isplus.joins.com/article/article.html?aid=1299517
고현정 이미지 http://www.dailian.co.kr/news/news_view.htm?id=185983&kind=menu_code&keys=75


2009년 MBC연기대상이 그 화려한 막을 내렸다. 대상은 미실 고현정에게로 돌아갔다. 드라마 <선덕여왕>이 11개 부분에서 15명이 수상했다. 공동수상을 포함해서다. 미실을 비롯해서 <선덕여왕>에서 열연한 모든 연기자들에게 갈채를 보낸다. 그리고 비록 <선덕여왕>에 밀려 다소 빛이 바래긴 했지만 <내조의 여왕><보석 비빕밥>의 연기자들에게도 찬사를 보낸다. 특히 <내조의 여왕>에서 열연한 김남주에게는 한 옥타브 높은 환호를 보낸다. 어느 한 사람 한사람이 열연하지 않았을까!


고현정이 없었더라면 드라마 <선덕여왕>과 미실이 있을 수 있었을까? 결과적으로 말하면 존재하기 어려웠을 것이다. 그만큼 고현정이 열연한 미실의 존재는 무게감이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드라마상 미실의 죽음과 함께 <선덕여왕>의 시청률이 곤두박질 쳤다는 사실이 말해준다. 이후 비담의 난을 정점으로 회복세를 타긴 했지만 말이다. 대중이 미실에 보낸 사랑은 엄청났다. 아마 미실이라는 인물은 드라마 역사에 두고두고 회자가 되지 않을까 싶다.


드라마 <선덕여왕>의 내용도 미실의 죽음을 전후로 해서 상, 하편으로 구분 할 수 있을 정도로 미실이 있고, 없고에 따라 내용의 성격이 확연하게 갈라졌다. 미실 사후 드라마 전개가 억지스럽고 맥빠지기도 했다. 미실의 인기가 너무 높았기에 <선덕여왕>의 위기감이 감지되기도 했다. 심지어는 드라마 <선덕여왕>이 아니라 드라마<미실>이라고 하는 것이 나았을 거라는 비아냥을 듣기도 할 정도였다. 조연이었지만 사실상 주연의 풍모를 보여준 미실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미실의 풍모는 그야말로 카리스마가 넘쳤다. 그러한 카리스마는 고현정의 표정연기에서 나왔다. 그녀의 표정 연기는 미세한 디테일 부분에서 아주 섬세한 면을 보여주었다. 표정의 미묘한 변화에서 미실의 심리을 적절하게 드러내주어 정적인 인물이었지만 아주 생동감 있게 만들었다. 아마도 이러한 미실의 풍모를 연기한 고현정에게 연기 대상이 돌아간 것은 당연하지 싶다.


http://www.newsway.kr/news/articleView.html?idxno=73343


필자 개인적으로는 미실의 연기가 좋았음에도 불구하고 드라마 <선덕여왕>이 미실이라는 인물에게로 기울어지는 것에는 부정적이었다. 왜냐하면 어린 덕만의 연기가 너무나도 좋았고 그렇게 자란 덕만이 당연히 드라마를 이끌어가야 한다고 느꼈기 때문이었다. 그리고 미실보다는 덕만에게 그 비중을 높이지 않는 제작진과 덕만을 보는 부정적인 대중의 생각에 반대의 입장에 서기도 했다. 적극적으로 이요원을 두둔하고 싶었다. 왜! 드라마 <선덕여왕>이니까! 드라마 <선덕여왕>의 타이틀롤은 이요원이고 연기대상도 당연히 이요원에게로 돌아가는 것이 당연한 것이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이 모든 것을 미실이 꿰차버려 사실은 좀 답답한 느낌도 있다. 그러나 워낙 미실 사후의 드라마 <선덕여왕>의 침체와 시청률 변화가 고현정을 선택해야 하는 압박으로 작용했던 것 같다.


고현정 개인적으로는 <모래시계> 이후 최고의 사랑을 받았다. 고현정에게 <모래시계>와 <선덕여왕> 사이에는 많은 우여곡절이 있었다. 고현정은 드라마 <모래시계>에서 최고의 열연을 펼쳐 연기자로서는 인기의 절정에 달했다. 그리고 결혼과 함께 연기자의 길을 접었다. <모래시계>의 인기 이후 고현정은 삼성가의 며느리가 되었고 TV에서 모습을 감추었다. 그런데 그녀가 삼성가의 며느리로 있으며 두 아이의 어머니가 되고 그렇게 살아오면서도 그녀의 가슴 깊이에서 연기를 갈망하는 모래시계는 조금씩 운명의 시간으로 이끌어 주었던 모양이다. 그녀가 수상소감에서 밝혔던 것처럼 "제 아이들도 보고 있으면 좋겠고 함께 고생한 스텝들이랑 가족들이 생각나네요." 고 한 것은 그녀가 여자로서가 아니라 어머니로서 가슴 아픈 상처를 말해준다.
 

이 부분은 드라마 <선덕여왕>에서 자신의 출신 성분 때문에 괴로워하고, 갈등하고, 슬퍼하고, 분노하던 미실의 모습과 겹쳐져 보인다. 삼성가의 며느리라는 것은 명예보다는 어쩌면 족쇄로 작용했을 지도 모른다. 마치 미실이 <선덕여왕>에서 골품제, 즉 태생적인 한계가 족쇄로 작용했던 것처럼 말이다. 태생적인 한계로 끊임없이 열등감에 시달렸던 것처럼 말이다. 이 좋은 날 이혼이라는 그녀의 아픈 상처를 건드려서 미안하다. 하지만 어쩌겠는가? 그 이혼의 상처가 없었던들 미실이라는 인물이 탄생했을까? 미실로 뿜어져 나온 고현정의 연기력은 결국 그녀의 상처가 깊었다는 것을 단적으로 말해주는 것이 아닐까? 상처가 깊은 만큼 성숙해 진다고 말처럼 말이다.


미실로 다시 태어난 고현정! 그녀의 삶에서 미실은 마음속에 그녀의 또 다른 자아로 자리하지 싶다. 상처가 성숙한 연기로 승화된 고현정의 앞길에 언제나 행운이 함께 하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