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드라마/사랑을 믿어요

사랑을 믿어요, 자식에 대한 애정이 아니라 집착이다!


윤희와의 사랑에 대한 우진의 폭탄 선언으로 큰집, 작은집은 그야말로 쑥대밭이 되었습니다. 윤희를 양녀로 들여 13년동안이나 자식처럼 키운 김영호(송재호 분)의 실망은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비록 호적에는 올린 상태가 아니지만 자식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김영호의 반응을 가만히 들여다보면 윤희의 결혼에 대한 어떤 편견은 게재되어 있지 않습니다. 단지 사촌인(이나 다름없는) 우진과의 사랑에 대한 충격이랄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반응은 김영호의 인격으로 판단해 보면 당연한 것입니다. 단지 13년간이나 아버이와 딸처럼 지내왔는데 그런 윤희가 자신의 조카인 우진과 사랑을 하고 있다니 놀라고 속상해 할 뿐입니다. 그런데 이런 충격은 비록 너무나 강렬하기는 하지만 조금씩 완화되면서 평상심으로 돌아갈 수 있는 여지가 있습니다. 윤희에 대한 집착의 발로가 아니기 때문입니다. 결혼 상대자의 사회적, 경제적 조건을 따지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관습적인 충격이기에 그렇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김영호는 윤희의 감정을 존중해주게 될 것입니다.


이미지출처: KBS드라마


김영호와는 달리 우진의 어머니인 윤화영은 다릅니다. 그녀는 사회적인 조건을 참 중요하게 여깁니다. 우진의 감정을 존중해 주기보다는 자신의 사회적인 지위에 더욱 신경을 씁니다. 우진을 위하는 것 같지만 사실은 자신을 위하는 것입니다. 물론 부모의 입장에서는 자식이 다 잘되기를 바랍니다. 며느리가 될 여자의 경제적인 조건, 학벌, 집안 등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특히 사회적인 인지도가 있는 유명배우인 윤화영이고 보면 우진의 배우자도 그에 걸맞은 여자이기를 바라는 것은 당연한 것입니다. 윤화영이 수진이라는 우진의 오랜 친구를 며느리감으로 생각한 것도 그 때문입니다. 자식이 이런 부모의 마음을 잘 이해하고 받아들인다면 안성맞춤이겠죠. 그러나 자식이 부모의 생각과 다 같을 수는 없습니다. 우진은 윤화영과는 그 생각의 차원이 완전히 다릅니다. 부모를 이해하지 못한다고 할 수 있지만 필자의 판단으로는 우진은 충분히 윤화영의 생각을 이해하고 있다고 여겨집니다. 그러나 단순히 이해의 차원이지 잘못된 생각을 인정하고 받아들이지는 않습니다.


우진의 이러한 태도는 부모의 생각을 떠나 독립된 인격체의 태도로 바람직한 것입니다. 자식으로서 당당한 모습입니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아직도 이러한 우진의 태도를 그렇게 호의적으로 바라보지 않는 것 같습니다. 개인의 의사가 거의 전적으로 반영되어야 하는 부분에 있어서도 가족이라는 공동체적인 판단이 주요하게 여겨지기 때문이 아닌가 합니다. 자식에게 부모의 의사는 여전히 비중있는 조건으로 유효합니다. 부모는 여전히 자식의 삶에 영향력을 행사하고자합니다. 자식의 판단이 틀릴 수도 있습니다. 후회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부모가 그것을 되돌려 놓을 수는 없습니다. 선택은 자식이 하고 그 선택에 따른 실패나 ,실수도 자식이 책임져야 합니다. 그러나 우리의 부모는 그 선택 자체를 실패나 실수가 게재될 수 있다는 판단으로(그러한 판단이 부모의 삶의 지혜에서 나오는 것이라고 해도) 못하게 하려 듭니다. 이 점은 우리 사회가 개인주의적이기 보다는 공동체적이라는 미덕으로 치장해왔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사실 이것은 부모가 자식에게 지나치게 집착한 결과입니다. 자식은 부모가 낳은 존재는 맞지만 소유물은 아닙니다. 자식이 보다 나은 경제적인 환경, 사회적인 환경에서 살아가게 하는 것은 맞지만 그것을 강요해서는 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선택은 언제나 자식의 몫입니다. 그 자식의 몫을 부모의 사랑이라는 이름으로 빼앗으려 한다면 그것은 결코 사랑이 아닙니다. 집착입니다. 우진에 대한 윤화영의 태도가 바로 그렇습니다. 우진의 판단은 결코 잘못된 것이 아닙니다. 단지 도덕적인 문제입니다. 우진의 사촌형인 김동훈(이재룡 분)이 우진과 만나 하는 이야기도 우진의 잘못을 탓하는 것이 아니었습니다. 단지 자신에게 미리 말을 하지 않은 것에 대한 원망이 다였습니다. 부모들이 받을 충격 때문에 말입니다. 미리 이야기를 했더라면 그 충격을 조금이라도 완화시킬 방법이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에서 말이죠.


부모는 자식에게 충고나 조언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식의 선택을 무조건적으로 어리석다거나 볼경스럽게 여긴다면 그것은 자식에 대한 집착입니다. 그기다 윤화영은 윤희를 맹목적으로 싫어합니다. 고아라는 사실에서부터 경제적, 사회적인 조건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부모로서 그럴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자식의 선택이 그렇게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앞으로 자식보지 않으면서 살면 되지 않겠습니까. 자식을 자신의 판단으로만 얽매여 놓으려는 윤화영의 태도는 우진에 대한 사랑이라기보다는 집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 우진은 윤화영에게 묻습니다. “윤희가 왜 싫으신데요?” “그냥 싫어” 윤화영은 윤희가 그냥 싫은 것입니다. 우진은 이렇게 반박합니다. “말이 안되죠, 그냥 싫다니요.” 바로 이렇습니다. 부모이지만 윤화영의 반대는 실체가 모호한 것입니다. 그냥 싫은 것입니다. 사실 그냥 싫은 것은 아닐테지요. 윤화영은 구구절절 윤희가 싫은 이유를 우진에게 이야기하니까요. 하지만 우진이 왜 윤희를 사랑하는지에 대해서는 물어보지도 않습니다. 자신의 감정만을 일방적으로 이야기합니다.


우리 사회에서 이러한 윤화영과 우진의 관계는 참 시사점이 큽니다. 부모들의 자식에 대한 지나친 집착을 이제는 재고해야 하지 않을까 합니다. 부모의 자식에 대한 집착이 혹 우리 사회의 부정적인 몇몇 문제들과 연관되어 있어 보이기 때문입니다.  

*이전 글 다시 올립니다